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무요원 월급, 전역 후에도 받을 수 있다?!

by 라이프스코프 2023. 12.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회복무요원월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회복무요원이란 군대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신 하는 복무 방식인데요, 이들은 얼마나 받고 어떻게 살까요? 그리고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월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궁금하시다면 계속 읽어주세요!

1. 사회복무요원월급이란?

사회복무요원의 의무와 권리

사회복무요원은 군대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신 하는 복무 방식입니다. 보통 의료, 사회, 교육, 공무원 등의 분야에서 근무하게 되는데요, 이들은 군인과 비슷한 의무와 권리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사회복무요원은 군인과 같이 국가에 충성하고, 군사기밀을 지키고, 군사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사회복무요원은 군인과 같이 군복무수당을 받고, 군인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군인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의 복무 기간과 종류

사회복무요원의 복무 기간은 보통 24개월입니다. 하지만 복무 종류에 따라서 복무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분야 사회복무요원은 36개월, 교육분야 사회복무요원은 30개월, 공무원분야 사회복무요원은 26개월, 사회분야 사회복무요원은 24개월로 복무 기간이 다릅니다. 또한, 사회복무요원은 연장 복무나 재소집을 할 수 있습니다. 연장 복무는 복무 기간이 끝나기 전에 자발적으로 신청하는 것이고, 재소집은 복무 기간이 끝난 후에 국방부가 요청하는 것입니다. 연장 복무나 재소집을 하면 추가적인 월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의 근무 시간과 휴가

사회복무요원의 근무 시간은 보통 8시간입니다. 하지만 근무 장소나 업무 특성에 따라서 근무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분야 사회복무요원은 12시간, 교육분야 사회복무요원은 9시간, 공무원분야 사회복무요원은 8시간, 사회분야 사회복무요원은 7시간으로 근무 시간이 다릅니다. 또한, 사회복무요원은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휴가는 보통 28일이 주어지는데요, 이 중 14일은 연가, 14일은 병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가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병가는 의사의 진단서가 필요합니다.

사회복무요원의 월급 구성과 계산 방법

사회복무요원의 월급은 복무 기간과 계급에 따라 다릅니다. 2023년 기준으로, 사회복무요원의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병) 소집 ~ 2개월 차 : 600,000원
  • (일병) 3개월 차 ~ 8개월 차 : 680,000원
  • (상병) 9개월차 ~ 14개월 차 : 800,000원
  • (병장) 15개월 차 ~ 전역 : 1,000,000원

이 월급은 기본급이며, 식비와 교통비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식비는 1식당 7,000원, 교통비는 왕복 2,600원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한 달에 20일 출근한다고 가정하면, 실질적으로 받는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병) 소집 ~ 2개월 차 : 792,000원
  • (일병) 3개월 차 ~ 8개월 차 : 872,000원
  • (상병) 9개월차 ~ 14개월 차 : 992,000원
  • (병장) 15개월 차 ~ 전역 : 1,192,000원

사회복무요원의 월급은 근로소득세가 면제되고, 4대 보험 공제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실제 수령 금액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회복무요원의 기본급과 계급별 차이

사회복무요원의 기본급은 복무 기간에 따라 계급이 달라지고, 계급에 따라 월급이 달라집니다. 보통 2개월마다 계급이 오르는데요, 이병에서 일병으로, 일병에서 상병으로, 상병에서 병장으로 승진하게 됩니다. 계급이 오를 때마다 월급도 80,000원씩 오르게 되는데요, 이는 복무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많은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병장은 새로 들어온 이병이나 일병을 가르치거나, 근무 장소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사회복무요원의 식비와 교통비 지급 기준

사회복무요원은 기본급 외에도 식비와 교통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식비는 1식당 7,000원으로, 하루에 3식을 먹는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비는 왕복 2,600원으로, 출근하는 날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식비와 교통비는 근무 장소에서 신청하고, 매달 월급과 함께 입금됩니다. 식비와 교통비는 사회복무요원의 생활비를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사회복무요원월급의 장단점

사회복무요원월급의 장점

사회복무요원월급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사회복무요원월급은 근로소득세가 면제되고, 4대 보험 공제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실제 수령 금액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병장의 월급은 1,192,000원이지만, 세금이나 보험료를 빼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복무요원월급은 매년 인상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5.4% 인상되어, 평균 50,000원 정도가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사회복무요원의 업무량과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사회복무요원은 군인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군인연금은 복무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0세 이후에 매달 3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노후에도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월급의 단점

사회복무요원월급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사회복무요원월급은 일반적으로 월급이 낮은 편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은 군인과 비슷한 의무와 책임을 가지고 있지만, 월급은 군인보다 훨씬 적습니다. 예를 들어, 병장의 월급은 1,192,000원이지만, 군인의 월급은 2,000,000원 정도입니다. 이는 사회복무요원의 업무가 가볍거나 쉽다고 생각하는 오해를 낳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복무요원월급은 월급 외에 다른 수입을 얻기 어렵습니다. 사회복무요원은 부수입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나 사업을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사회복무요원의 경제적인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3. 사회복무요원월급, 전역 후에도 받을 수 있는 방법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할 수 있는 방법

사회복무요원월급을 전역 후에도 받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연장 복무입니다. 연장 복무는 복무 기간이 끝나기 전에 자발적으로 신청하는 것입니다. 연장 복무를 하면, 원래의 복무 기간보다 6개월 더 근무할 수 있습니다. 연장 복무를 하면, 월급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장의 월급은 1,192,000원이지만, 연장 복무를 하면 1,500,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재소집입니다. 재소집은 복무 기간이 끝난 후에 국방부가 요청하는 것입니다. 재소집을 하면, 원래의 복무 기간보다 12개월 더 근무할 수 있습니다. 재소집을 하면, 월급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장의 월급은 1,192,000원이지만, 재소집을 하면 1,800,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월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월급을 받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월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퇴직금입니다. 퇴직금은 복무 기간이 끝난 후에 한 번에 받는 금액입니다. 퇴직금은 복무 기간과 계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00,000원 정도입니다. 퇴직금은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월급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두 번째는 연금입니다. 연금은 복무 기간이 끝난 후에 매달 받는 금액입니다. 연금은 복무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0세 이후에 매달 3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은 노후에도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해주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사회복무요원월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회복무요원월급은 복무 기간과 계급에 따라 다르고, 식비와 교통비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월급은 근로소득세가 면제되고, 4대 보험 공제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사회복무요원월급은 매년 인상되고 있으며, 군인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복무요원월급은 월급이 낮은 편이라는 인식이 있고, 월급 외에 다른 수입을 얻기 어렵습니다. 전역 후에도 사회복무요원월급을 받고 싶다면, 연장 복무나 재소집을 하거나, 퇴직금이나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