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저소득 청년들을 위한 정부의 성금한 지원, 바로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저소득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기 위한 정부 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은 무엇이고, 어떻게 가입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청년희망적금이란 무엇인가?
![](https://blog.kakaocdn.net/dn/ckvmwb/btsC54jlBZ3/o2xjnKZYug0GNXMgdWYc71/img.jpg)
청년희망적금의 정의와 목적
정부의 저축장려 정책
청년희망적금은 정부가 저소득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만든 적금 상품입니다. 정부는 청년희망적금에 납입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저축장려금으로 지급하고, 이자소득을 비과세로 처리하여 청년들의 저축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017년부터 시행된 정책으로, 매년 30만 명의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들의 저축 문화 확산
청년희망적금의 목적은 저소득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청년들의 저축 문화를 확산하는 것입니다. 청년들은 취업, 결혼, 주택 구입 등의 큰 소비를 앞두고 있으므로, 저축을 통해 자산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저소득이나 불안정한 직장 상황에 놓인 청년들은 저축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이러한 청년들에게 저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저축의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특징과 장점
최대 36만 원의 저축장려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장점은 정부의 저축장려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청년희망적금에 납입한 금액의 20%를 정부가 저축장려금으로 지급해 주는데, 이는 최대 36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50만 원을 2년 동안 납입하면 총 1,200만 원을 저축할 수 있는데, 이 중 20%인 240만 원을 정부가 저축장려금으로 줍니다. 또한, 청년희망적금의 이자소득은 비과세로 처리되므로, 세금 부담 없이 이자를 챙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은 일반 적금이나 예금과 비교해도 매우 유리합니다.
시중 11개 은행에서 가입 가능
청년희망적금은 시중 11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자신의 편리한 은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시중 11개 은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은행
- 우리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 기업은행
- 산업은행
- SC제일은행
- 씨티은행
- KEB하나은행
- IBK기업은행
각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이 다르므로, 가입 전에 비교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은 무엇인가?
![](https://blog.kakaocdn.net/dn/cc1f7d/btsC52eNGXx/HH2w3l33ECckNxIJP2ylBk/img.jpg)
나이와 소득 기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 중 첫 번째는 나이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들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부가 청년층을 정의한 기준에 따른 것입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들은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이 있습니다.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 중 두 번째는 소득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저소득 청년들을 위한 적금 상품이므로,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청년들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은 직전 과세기간 (2022년 1월~12월)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금액 2,600만 원 이하)입니다. 총 급여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등을 합산한 금액이고, 종합소득 금액은 총 급여액에서 필요경비, 세액공제, 소득공제 등을 뺀 금액입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을 통해 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이 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할 수 없습니다.
납입과 만기 기준
월 50만 원 한도로 납입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 중 세 번째는 납입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 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즉, 한 달에 50만 원 이상을 저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50만 원 미만으로 납입할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달에 30만 원을 납입하면, 다음 달에 70만 원을 납입할 수 없고, 50만 원 이하로만 납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저축장려금의 금액도 달라집니다. 월 50만 원을 납입하면, 저축장려금의 비율이 20%이지만, 월 40만 원을 납입하면, 저축장려금의 비율이 15%가 됩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금액을 납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기 2년 상품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 중 네 번째는 만기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2년 상품입니다. 즉, 가입한 날로부터 2년이 지나면 적금이 만기가 됩니다. 만기가 되면, 납입한 원금과 이자, 그리고 저축장려금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기 전에 중도 해지를 하면, 저축장려금을 받을 수 없고, 이자도 낮은 금리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만기까지 꾸준히 납입하고, 중도 해지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https://blog.kakaocdn.net/dn/cbj1fr/btsC4aqMsNh/Wop8Q4ZgpjQKrZiMhD36kk/img.jpg)
가입 준비물
신분증과 주민등록번호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려면, 신분증과 주민등록번호가 필요합니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는 주민등록증이나 주민등록등본에 있는 번호입니다. 신분증과 주민등록번호는 가입 시 본인 확인을 위해 필요합니다.
소득금액증명원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려면, 소득금액증명원도 필요합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은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은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가입 방법
은행별 우대 금리 조건 비교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기 전에,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을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시중 11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지만, 각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이 다릅니다. 우대 금리 조건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 납입 방식: 자동이체, 수동이체
- 납입 금액: 50만 원, 40만 원, 30만 원, 20만 원, 10만 원
- 납입 횟수: 24회, 23회, 22회, 21회, 20회 이하
- 우대 조건: 신용카드 발급, 대출, 예금, 펀드, 보험 등
각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을 확인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대 금리 조건은 은행의 홈페이지나 전화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가입 신청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려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온라인으로 가입 신청을 하려면, 은행의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으로 가입 신청을 하려면, 은행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신청 시, 신분증, 주민등록번호, 소득금액증명원을 제출해야 합니다. 가입 신청이 완료되면, 청년희망적금 계좌가 개설되고, 납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저소득 청년들의 저축을 장려하고, 저축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정부의 성금한 지원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자격 조건을 충족하고, 가입 방법을 따르면, 최대 36만 원의 저축장려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시중 11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으므로,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을 비교해 보시고, 가장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을 통해 청년들의 저축을 증진하고, 자산을 쌓는 것이 목표입니다.